경제 부동산 소식

한국은행 금융통화회의, 전문가 금리 전망과 준공후 미분양 증가

재클쌤 2023. 11. 21. 09:4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클로버입니다.

 

오랜만에 경제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포스팅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오늘 주제는 한국은행 금통위의 마지막 금융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내용과 전문가들의 내년 금리 인하 전망, 그리고 준공후 미분양 증가입니다.

 

 

 

 

<목차>

1. 한국은행 금융 통화정책회의

2. 전문가들의 금리인하 예측

3. 준공후 미분양 증가 현황

 

 

 

1. 한국은행 금융 통화정책회의

 

1)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금리동결 무게

 

파이낸셜뉴스(2023. 11. 19.)에 따르면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금통위 회의가 11월 30일이 예정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3.5%)으로 동결할 것을 '만장일치'로 점치고 있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자료출처: 뉴스1)

이는 올해 초 1월에 3.5%로 인상 후 7회 연속 동결인 셈이며, 이것으로 미국과 격차는 2%p 유지될 것이다. 경기 부진과 기업과 가계의 상환능력 저하에 따른 금융 리스크를 고려할 때 '금리 인상'은 더욱 부담일 수밖에.

 

사실 이건 미국 경기에 조금만 관심 가진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수순이 아닐까?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는 거의 끝났다는 게 현재 기정사실화인 상황.

 

각 나라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비율(자료: 블룸버그)

 

더군다나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선제적으로 인하를 단행하는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위 그래프를 눈여겨본다면, 한국은행의 긴축 기조도 끝났다고 보는 게 맞다.

 

 

2) 물가 상승률 상향 조정 할 가능성

 

하지만 전년 대비 한국의 소비자물가 추이는 7월 2.3%로 둔화된 후 8월부터 3개월 연속 3%대로 오름폭을 키웠기에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

 
소비자물가 추이(출처: 통계청 기반 연합뉴스)
 

11월 30일에는 한국은행의 경제전망도 발표되는데, 내년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거나 소폭 조정하고, 물가 상승률 전망은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한다.

 

 

3) 기대인플레이션율

 

기대인플레이션율이란, 소비자들이 향후 1년간 생각하는 물가 상승률 전망을 뜻하는데, 현 상황에서 정부는 '기대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발언을 세게 할 가능성이 크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차단하지 않으면 물가 상승률이 다시 높아지기 때문.

 

 

 

 

2. 전문가들의 금리인하 예측

 

혹자는 예측이 무의미하다고 말하지만, 내 생각은 전혀 다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예측이 틀릴 수도 있으나, 그 줄기는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1) 내년 2분기 이후 시작

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 목표(2%)보다 높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내년 2분기 이후 시작될 수 있다며, H4L(고금리 장기화)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기 요금과 교통비 같은 공공부문의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하기에 1분기 조기 인하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

 

하지만 파이낸셜 뉴스(2023. 11. 19.)에 따르면 연준보다 앞서 인하할 수 있는 변수가 2가지가 있다고 한다. "국내 경기와 부동산 가격 하락".

이상헌 연구원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를 6~7월로 본다는데,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 하향세가 이어진다면 미국 연준에 앞서 내년 5월 인하가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연준의 인하 시그널을 확인하게 되면 선제 금리 인하도 가능하다고 한다.

 

 

2) 2가지 의구심 가지기

  • 만약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6~7월이 아니라 3~4월이면?
  • 우리나라 부동산 경기가 점점 좋지 않게 되면?
 

나는 둘 다 충분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특히 지방의 미분양 사태. 과연 잠자코 보고만 있을까?

 

 

 

3. 준공후 미분양 증가

현재 지방 미분양 사태가 심각하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출처: 국토부 자료를 기반해 제작한 중앙일보)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도 적지 않지만, 지방은 규모가 꽤 크다. 지방 미분양이 꽤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 주택 건설 실적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전국 주택 건설 실적(출처: 국토부 자료를 기반해 제작한 중앙일보)

전국 주택 건설 실적은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등 모든 부분에서 전년 대비 떨어지고 있다.

 

 

 

종합공사업체의 폐업신고 건수 증가

 

 

 
종합공사업체 폐업신고 건수(출처: 국토부 자료를 기반해 제작한 중앙일보)
 

 

종합공사업체 폐업신고 건수도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현재 선방하고 있으나, 지방의 경우 자칫 줄도산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기조가 정해졌다면, 우리나라는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선제적 조치가 가능하다는 것! 더군다나 미국의 인하 시점도 1분기를 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지속 언급하고 싶다.

 

 

지금은 과연 '풍전등화'일까?
아니면 '동트기 전 어두운 상황'일까?

 

 

이상으로 재테크하는 클로버와 함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마지막 금융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내용과 전문가들의 내년 금리 인하 전망, 그리고 준공후 미분양 증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같이 읽어보면 좋을 글)

 

 

 

반응형